필요성
DOT(Directly observed therapy)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가 국가 결핵관리를 위하여 권장하는 정책으로 결핵 관리요원이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환자가 항결핵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올바르게 복용하게 함으로서 약제내성이 감소되고 치료 순응도가 증가되는 것을 목적으로합니다.
- 우리말 해석:감시하복용
- 환자교육이 곤란한 개발도상국 뿐만 아니라 복약을 지키지 않는 노숙자등을 대상으로 미국등에서도 시도가 되고 있다.
- DOT가 확실하게 시행되면 복약준수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없다.
DOT란 무엇인가?
- 효과적인 환자의 치유를 위해서는 환자가 치료에 순응하도록 해야 한다. 단기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이란 환자가 정해진 치료 처방대로 복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6개월이상 정해진 기간동안 꾸준하게 항결핵제를 복약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환자가 스스로 꾸준하게 복용할 지 예측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 환자가 꾸준하게 항결핵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한가지 방법이 DOT인 것이다.
DOT가 필요한 사람 (1)
- 균양성인 폐결핵환자
- 치료 실패한 환자
- 약제 내성인 환자
- 결핵이 재발한 경우
-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
- 활동성폐결핵 또는 잠복기 결핵으로 이전에 치료력이 있는 사람
DOT가 필요한 사람 (2)
- 약물중독자
-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사람
- 지남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치료에 비협조적인 사람
- 어린이나 청소년 환자
폐결핵에 대한 화학치료의 원칙
- 항균력이 강한 약제에 병합에 의한 적절한 처방을 쓰는 것
- 규칙적으로 쓰는 것
- 처방마다 정해진 기간동안 쓰는 것
항결핵화학치료의 목표
- 병변내의 멸균
- 병변의 회복 또는 개선
- 증상의 소실 또는 개선
- 재발 없는 치료
- 궁극적인 목표 : 객담내의 결핵균의 음전화
2021년 결핵실태 및 현황
- 결핵 신환자 수
- 2021년 기준 18.335명(10만명당 35.7명)으로 지난 10년간 절반 이상 (53.6%) 감소
전체 신환자 중 65세 이상이 51.3% 차지 다제내성결핵 환자 수 371명으로 전년대비 28명(7.0%) 감소
- 2021년 기준 18.335명(10만명당 35.7명)으로 지난 10년간 절반 이상 (53.6%) 감소
- 결핵 발생률
- OECD 가입국 중 1위
- 사망률
- OECD 가입국 중 3위
2021년 결핵 사망자 1,430명 (10만명당 2.8명), 65세 이상이 82% 차지
- OECD 가입국 중 3위
DOT 전략의 핵심내용
- 정부의 강력한 결핵퇴치 의지
- 객담검사를 이용한 환자발견방법 사용
- 6개월 단기 화학 표준처방의 적절한 사용 및 최소한 전염성환자에 대한 무료치료
- 중단 없는 결핵약제의 공급
- 표준화된 보고양식을 사용하여 치료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 구축
DOTS전략의 궁극적 목적
- 지역사회, 더 나아가 국가 전체의 점염성 결핵 환자의 발견율과 완치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약제 내성 결핵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 민간의료분야의 협조를 필요로 한다.
환자들의 준수 사항
- 결핵의 심각성 인식
- 결핵약의 규칙적 복용
- 환자의 자기 관리 : 금연, 금주
- 당뇨병과 같은 동반질환의 관리 결핵치료는 동반질환의 조절이 중요
- 충분한 영양 섭취
- 적절한 운동
병동 환자 분류 현황
- 균양성환자: 41, 51, 61병동
- 균음성환자: 32병동
- 균양성자: 마스크착용을 원칙으로 함. 균음전이 되면 음성병동으로 이동하여 치료 또는 퇴원 가능
- 균음성자 : 음성병동에서 치료하면서 퇴원 권유
균양성자 대상으로 DOT
- 감시하 복용으로 균음성률을 높인다.
- 규칙적인 복용으로 치료를 향상시킨다.
- 마스크 착용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을 막는다.
감염경로

마스크 착용의 필요성
- 균양성 환자의 배균으로 인한 전염방지
- 의료인의 감염으로 인한 전염 매개체로의 역할 방지
- 균음전 환자의 경우는 마스크 착용이 필요 없음 : 균을 배출하지 않음
- 처음 입원시 마스크는 병원에서 지급
- 추가로 필요한 경우 환자가 구입 사용
- DOT의 전면 실시중 : 균양성환자 반드시 마스크 착용할 것
결핵약 복용 시간
- 1차약 복용시간
- 아침 6시 30분(식전 복용)단 위장장애가 심한 사람은 리팜핀은 식전에 복용하고 나머지약은 식후에 복용.
- 2차약 복용시간
- 아침약은 식후 오전 7시30분에 복용
- 저녁약은 식후 오후 6시30분에 복용
- 약을 복용한 후에는 간호사에게 확인을 받는다
결핵에 대한 상식
객담 도말검사에서 실수 2 의 의미는?
- 객담 도말검사시 양성의 판정 기준은 현미경 검사로 100시야를 보아서 균이 보이지 않으면 음성.
- 100시야에서 1-9개가 검출되면 실수 1,2,3 의 형태로 표시합니다.
- 100시야에서 10-99개가 나오면 1+, 매 시야에 1-10개가 나오면 2+, 한 시야에서 10개 이상이 나오면 3+로 표시하여 보고 합니다.
결론
- 전세계적으로 결핵퇴치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DOTS를 국립마산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시행중이며, 높은 치료 성공률을 기대하기 위함
- 현재 보건소의 초치료 성공률은 80%정도
-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로 95% 정도의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음(초치료환자)
- 본원에서 2004년 11월, 전 병동이 실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