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본문시작

운영목적

  • 동의환자의 결핵 검체에 대한 안정적 수집, 보관, 관리, 분양
  • 수집된 검체를 통한 결핵감염에 따른 다양한 질병양상 연구 및 다제내성 결핵의 진단법과 치료법 개발 연구에 활용
  • 결핵 관련 연구자를 위한 기회 제공 및 국가 공중 보건 사업에 기여
한국인체자원은행 사업의 협력병원 지정 지도

한국인체자원은행 사업의 협력병원 지정 지도 구조도

  • 경기도
    • 한국원자력의학원 (KBN협력병원)
    • 서울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고려대구로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서울아산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순천향대부천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아주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강원도
    • 강원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충청북도
    • 국립중안 인제자원 은행
    • 충북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충남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전라북도
    • 원광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전북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전라남도
    • 화순전남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경상북도
    • 경북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계명대동산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경상남도
    • 부산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인제대부산백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경상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 국립마산병원 결핵검체은행 (KBN협력병원)
  • 제주도
    • 제주대병원 (인체자원단위은행)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의 협력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음

운영방법

  • 입원환자의 동의를 얻어 객담, 혈액, 소변, 균주 등 검체를 수집 및 보관
  • 수집된 검체들과 환자의 임상정보를 서로 연결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구축

운영규정

국립마산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과 운영규정을 준수합니다.

검체 보유 현황

객담 9,388개, 혈액 7,108개, 뇨 2,162개, 결핵균 6,100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7년 12월 기준)

검체 보유 과정

  • 동의서 취득
  • 수집
  • 정보처리
  • -80℃ 보관
본문종료
담당자 정보
  • 부서 : 임상연구소
  • 성명 : 이누리
  • 전화번호 : 055-249-5625
최종수정일 : 2022년 12월 07일
상단으로 이동